biospectrum
현재 위치
Home > 고객지원 > 공지사항&뉴스

공지사항&뉴스


바이오스펙트럼이 알려드립니다.
게시글 보기
[논문] 엉겅퀴꽃 추출물의 항당화 효능
Date : 2022-08-18
Name : BioSpectrum 페이스북 File : 20220818135533438.jpg

지난번 흑화 초진용 조성물 논문 게재에 이어 엉겅퀴꽃🌷 추출물의 당화반응(Glycation)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 효과 연구로 저널 게재!!✌✌

당 독소로도 알려진 ‘최종당화산물(AG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은 최근 피부 노화의 원인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종당화산물은 체내의 포도당과 같은 환원당이 단백질, 지질, 핵산 등과 만나 비효소적 당화반응(Glycation)을 일으키며 생성되는데, 당화반응에 의한 최종당화산물은 노화에 의해 조직 내에 축적됩니다. 정상인보다 체내의 당과 알데하이드의 수치가 높은 당뇨환자의 경우, 콜라겐 등의 조직 내 당화반응산물의 축적이 가속화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당뇨환자의 피부에서 정상인의 비해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여러 피부 노화 지표가 악화되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당화반응에 의한 최종당화산물의 과도한 축적이 피부 노화와 피부 탄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바이오스펙트럼㈜ 생명과학연구소에서는 ‘엉겅퀴꽃 추출물’이 이러한 당화반응에 의한 피부 노화와 피부 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Apigenin, Chlorogenic acid과 같은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엉겅퀴꽃 추출물이 포도당과 aldehyde에 의한 당화반응을 억제하여 최종당화산물의 형성을 막고, 당화반응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역시 감소시킴을 밝혀냈습니다. 또한, 엉겅퀴꽃 추출물에 의해 피부 엘라스틴 내 최종당화산물의 축적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엉겅퀴꽃 추출물이 콜라겐과 최종당화산물 사이의 교차결합을 끊어내고, MMP-1 콜라겐분해효소의 발현을 억제하여 콜라겐의 탄성을 회복시키는 것을, 3D 콜라겐 내 세포배양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나아가 8주 간의 임상시험을 통해, 엉겅퀴꽃 추출물을 함유한 로션을 32명의 한국인 중년 여성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눈가 주름과 피부 탄력이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엉겅퀴꽃 추출물이 당화반응과 최종당화산물이 피부 노화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중요한 타깃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함과 동시에, 피부 탄력과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화장품의 성분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하였습니다!!!🙌🙌🙌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