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pectrum
현재 위치
Home > 고객지원 > 공지사항&뉴스

공지사항&뉴스


바이오스펙트럼이 알려드립니다.
게시글 보기
[논문] 참쑥 ICA A&C의 항로사시아 효과
Date : 2022-08-18
Name : BioSpectrum 페이스북 File : 20220818134258550.jpg

‘참쑥🌿에서 분리한 ICA A&C의 항로사시아(Rosacea, 주사)효과’ <biomedicines> 저널 게재 소식!! 🎁😊🎁

Rosacea🥵는 피부에 나타나는 만성 염증질환으로 면역 및 혈관기능 장애를 유발합니다. 지금까지 보고된 Rosacea연구들은 피부의 항균펩타이드 ‘LL-37’의 비정상적인 생성을 Rosacea의 염증과 홍반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꼽고 있으며, 이는 피부 각질층의 Serine protease인 Kallikrein 5 (KLK5)의 활성 증가에 기인한다고 보고됩니다. KLK5는 피부 재생 주기, 즉 turnover의 제일 마지막 단계에서 표피의 각질을 탈락시키는 역할을 하는 protease로, 건강한 피부에서는 이들의 활성이 엄격하게 조절되어집니다. 즉, Rosacea 환자 피부에는 KLK5의 비정상적인 활성 조절로 각질세포의 조기 탈락으로 인한 피부장벽기능의 저하와 KLK5에 의해 활성화되는 LL-37의 과도한 생성이 유발되는 것이죠.

본 연구에서는 Rosacea의 근본적인 병태생리 및 임상 양상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제로 KLK5 활성억제 소재에 초점을 맞추고, 선별된 참쑥(Artemisia lavandulaefolia)에서 유효 활성 성분을 분리하여 KLK5 활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생물검정 유도물질 분획(bioassay-guided fractionation)을 통하여 참쑥에서 생리활성 유효성분인 3,5-dicaffeoylquinic acid (isochlorogenic acid A, ICA A) 및 4,5-dicaffeoylquinic acid (isochlorogenic acid C, ICA C)를 포함하는 2가지 chlorogenic acid isomer의 분리 및 구조를 동정에 성공! ICA A&C는 KLK5 효소활성 억제를 통하여 LL-37의 활성화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ICA A&C에 의한 LL-37 생성 억제는 대식세포 및 비만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LL-37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습니다. 또한, ICA A&C는 LL-37에 의해 유도된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직접적으로 억제하여 ICA A&C의 항로사시아 효능을 단계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참쑥에서 유효물질 추출물을 얻어 Rosacea 관련 주요 분자표적에 대한 isochlorogenic acid A와 C의 효과를 보인 Rosacea 치료제로서의 만성염증질환 치료 타겟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