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pectrum
현재 위치
Home > 주요기술 > 제품과 기술
제품과 기술

1.일반 액상 기술



  • 천연물로부터 제조된 추출물을 생리활성 효능 농도에 기반하여 화장품 제형에 사용 가능한 액상 제형으로 제조합니다. 또한 화장품에서 널리 사용 중인 일반 효능 원료를 용해하여 제품화하고 있습니다. 액상화를 위한 용매로는 화장품에서 많이 사용하는 정제수, 글리콜(Glycol)류 또는 오일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원물 및 유효 성분의 특성에 맞게 효능 성분을 고농도로 함유시키기 위한 공정 최적화 및 다양한 제재 기술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제 기술의 예로서는 하이드로트로프(Hydrotrope)를 이용하는 방법,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등 당류의 구조체에 포접복합체를 형성하는 방법, 천연 가용화제를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또한, 에멀젼 (emulsion)과 액정 (liquid crystal) 구조 형성, 고분자 기반의 안정화, 무수(anhydro) 제형을 이용한 안정화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2. 리포좀 기술



현재 사용 중인 화장품 분야의 대표적인 나노기술은 의약분야에 사용되던 리포좀 (Liposome) 기술을 들 수 있습니다. 리포솜은 하나 이상의 인지질 (Phospholipid) 이중층으로 구성된 구형 베지클 (Vesicle)을 총칭하며, 세포막 구조와 유사한 생체 친화적인 생분해성 전달 시스템입니다. 어원 또한 지방과 신체에 속하는 그리스말 "Lipos"와 "Soma"에서 유래되었으며, 구성성분인 인지질은 인산기가 붙은 친수성 머리와 2개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소수성 꼬리가 결합된 구조로 양친매성을 가집니다. 3차원적 공간에서 인지질은 소수성 꼬리가 서로 마주보고 친수성 머리가 구상 내/외부에 위치하는 자기조립형 베지클을 형성하기에, 친수성 구획에 피부침투가 어려운 수용성 유효성분을, 소수성 구획에 지용성 유효물질을 탑재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구조적 유사성에 기인하여 이중 지질막으로 이루어진 각질 피부 세포 간극을 통과하고, 진피층까지 수/지용성 효능물질을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서 리포좀의 제조에는 천연 유화 성분인 레시틴(lecithin)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이라는 인지질을 사용하며, 이는 유화 기능 외에도 자극완화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계면 활성, 안료 분산 및 피부 컨디셔닝, 산화방지 기능성을 나타냅니다.




3. 캡슐화 기술



3-1. 매크로&마이크로캡슐 (Macro & Microcapsule)


마이크로캡슐화는 활성물질을 쉘(shell) 내에 포획하고 상기 쉘을 주변 환경 하에 또는 일정 조건에서 파괴시키거나 용해시켜 활성 성분이 방출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캡슐화는 제약 및 준제약 분야에서 약물, 비타민 또는 미네랄과 같은 활성 성분들을 위에서 장시간에 걸쳐 용해되는 쉘 내에 캡슐화시킴으로써 그 활성성분들을 서서히 방출하거나 지속시키기 위해 이용되어 왔습니다.



보통 직경이 수 ㎛인 미소한 캡슐을 의미하며 캡슐을 형성하는 재료를 벽물질, 그 속에 봉입되는 물질을 중심물질이라고 합니다. 중심물질로서는 기체ㆍ액체ㆍ고체의 어느 것이라도 쓸 수 있습니다. 중심물질은 캡슐화됨으로써 겉보기 물성이 바뀌어 벽물질에 의해 보호되고 또한 외부로 방출이 제어됩니다. 벽물질로서는 천연 또는 합성고분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캡슐의 제법으로는 계면중합법 등의 화학적 방법, 비용매 첨가나 pH의 제어에 의해 벽물질의 용해도를 변화시켜 석출시키는 코아세르베이션, 가온/감압 등에 의해 벽물질의 용매를 제거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계면침전법 등의 물리화학적 방법, 또는 분무건조법 등의 기계적 방법이 있습니다.



마이크로캡슐은 폭 넓은 응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캡슐화에 의한 보호작용을 이용한 것으로 빛이나 산소에 불안정한 색소와 향료를 마이크로 캡슐화한 예가 있고 또한 벽물질의 물질이동 저항에 의해 중심물질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한 것으로 의약품의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에 응용이나 장기 지속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캡슐화 농약의 예가 있습니다. 물질을 마이크로캡슐에 내포시키는(마이크로 캡슐화) 목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 1. 액체를 둘러싼 분체 모양을 만들어 다루기 쉽게 합니다.
    2. 싸인 물질이 서서히 방출되는 것을 이용하여 그 방출양식을 조절합니다.
    3. 그대로 두면 서로 반응하는 물질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격리시킨 다음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반응합니다.
    4. 휘발하기 쉬운 물질을 휘발하지 않도록 합니다.


3-2. 습식 매크로 캡슐 (Wet Macrocapsule)


습식 매크로 캡슐은 캡슐 고유의 기능인 활성성분의 보존 및 전달과 더불어 제품의 심미적 효과도 함께 가능케 하는 기술입니다.



당사가 보유한 기술이 적용된 습식 매크로 캡슐은 해조류와 같은 생물로부터 얻은 천연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며, 캡슐 전체의 구성이 균질화 되어있는 비드 형태와, 표면과 중심부의 구성이 상이한 core-shell type 캡슐 형태인 총 2가지 타입으로, 다양한 직경의 구형 습식 캡슐을 제공드릴 수 있고, 비건/천연 등의 인증들과, NMPA 등록 대응이 가능합니다.



  • 캡슐의 적용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투명한 겔부터 크림 제형까지 다양한 제품군에 심미적 효과를 더하여 차별화 가능
    2. 과량의 불용성 또는 유성 효능 성분의 제품화 가능



4. 천연 제형 기술


화장품은 생물, 화학 등의 기초과학에 응용 기술이 융합된 정밀화공 분야로, 트렌드에 민감한 제품입니다. 특히 천연 화장품이란, 동식물 및 그 유래 원료 등을 함유한 화장품으로서 전체 화장품의 95% 이상이 천연 함량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자연에서 대체하기 곤란한 경우에 한정하여 안전을 위해 5% 이내로 합성원료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천연 화장품은 기존 화장품에서 합성 폴리머, 계면활성제, 유화제, 실리콘 오일류 등의 원료로 구성한 제형의 안정성, 흡수력, 발림성과는 다른 특성을 지니며, 원료 사용에 있어서도 제한적인 부분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바이오스펙트럼에서는 천연 또는 유기농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원료 제형을 공급할 뿐 아니라, 이를 적용한 COSMOS, Vegan 인증 가능한 다양한 천연 가이드 처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천연 가용화제를 사용한 투명 토너, 천연 수분산 오일을 사용한 밀키 에센스, 천연 유화제를 이용한 로션, 기능성 밤/크림 제형 등 천연 제형 기술로 다양한 완제품 제안은 물론, 천연기반 화장품 제형 개발시 발생하는 다양한 트러블 슈팅이 가능하고, 고객이 원하는 지속가능한 화장품 소재 개발의 기술적 발판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5. 분석 기술


성분 분석


1. 유효/기능 성분 분석: 다양한 검출기를 이용하여 시료 내 포함된 유효/기능성 물질 분석합니다.
2. 당분석: 당류는 HPLC에서 RI(굴절율)를 사용하여 분석합니다.
3. 지방산 분석: 시료를 알칼리로 가수분해시키고, 메틸에스테르화 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합니다.
4. 총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분석: Folin-ciocalteu 방법을 활용하여 측정합니다.
5. 베타글루칸: 베타글쿠칸으로부터 글루코오스 형태로 효소분해 및 산 분해한 뒤, 발색 시켜서 정량 합니다.



기기 분석


1. GC: 비교적 분자량이 작고 휘발성이 높은 저분자 유기성분(일반적으로는 분자량 500미만)들을 분석합니다.
2. GC-MS Library: Database 상에 저장된 Mass spectrum과 시료의 spectrum을 비교하여 예상되는 성분을 search하는 방법으로, 시료 내 저분자 유기화합물을 정성 분석합니다.
3. LC 분석: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비를 이용하여 제품내 유효성분을 분석합니다.
4. FT- IR: 유기/무기 화합물을 구성하는 기본 특성 흡수 띠를 이용하여 미지 시료의 정성분석 합니다.



유해 성분 분석


1. 중금속 분석: ICP-MS를 활용하여 납(Pb), 비소(As), 수은(Hg), 카드뮴(Cd) 안티몬(Sb) 등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기준에 따른 중금속을 분석합니다.(오산BCP센터)
2. 잔류용매 분석: 제조공정에서 첨가되거나 생성될 수 있는 에탄올, 메탄올, 디옥산 등 유기화학물질을 분석합니다.
3. 프탈레이트 분석: 프탈레이트 (Phthalate)는 딱딱한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이지만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GC/MS를 통해 분석합니다.
4. 포름알데히드 분석: 유통화장품 안전관리 기준 유해성분 중 하나인 포름알데히드는 유도체화 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합니다.
5. 알러젠 분석: 식약처 지정 알레르기 유발 향료 26종을 GC-MS를 활용하여 분석합니다.



주요 기기 현황

구분기기명보유대수비고
Quantitative Analysis1.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4ET4 PDA, 1 RID
Qualitative Analysis2. GC (Gas Chromatography)2SET1 MS, 1 HSS-MS, 1 FID
3.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1SETATR
Physical Analysis4. Colorimeter1SET-
5. ABBE refractometer1EA-
  • HPLC 유효/기능성분 분석

  • 2. GC-HSS-MS 잔류용매 분석

  • 2. GC-MS 프탈레이트, 알러젠 분석

  • 3. FT-IR 정성분석

  • 4. Colorimeter 색상 분석

  • 4. Colorimeter 색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