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pectrum
현재 위치
Home > 제품소개 > 원물 또는 기술별 > 천연방부제
천연방부제

1. 화장품의 방부제란?


화장품과 세제는 기름이나 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특히 화장품은 미생물의 탄소원이 되는 글리세린이나 솔비톨, 질소원으로는 아미노산 유도체, 단백질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분이 유사한 식품과 비슷하게 곰팡이나 세균 등의 미생물이 침투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식품과 비교해보면 화장품은 그 사용기간이 비교적 길어 미생물에 의한 변화의 위험은 식품에 비해 더 높습니다. 그래서 화장품은 쉽게 손가락 등으로부터 오염되어 미생물이 일으키는 변패, 변취 등으로부터 장기간 보호될 필요가 있어 방부제를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방부제는 화장품에 배합되어 외부로부터 화장품을 오염시키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며, 시간경과와 함께 미생물을 사멸시켜 제품의 변화를 방지합니다. 하지만 미국 FDA, 일본 후생성, 국내의 식품의약품안정청 등에서 방부제의 배합한도를 규제할 만큼 안전성에 논란이 있고, 뉴스 등의 미디어에 방부제의 해로움이 보도될 정도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이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방부제를 쓰지 않을 때 제품의 변질과 미생물의 오염, 나아가 인간에게 해로운 병균의 오염 등, 더욱더 큰 문제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로움을 알면서도 방부제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2. 합성 방부제의 위해성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성 방부제의 종류로는 파라벤류,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페녹시 에탄올 등이 있습니다. 파라벤류의 세포독성 메커니즘은 세포막에 결합하여 지질이중층을 파괴시키고 세포 내 성분을 누출시켜, 세포를 사멸시키게 됩니다. 의약품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Benzalkonium Chloride의 항균 메커니즘 역시 미생물의 세포 표면으로 흡착된 뒤 세포벽을 통해 항균 물질이 확산되고 세포막이 파괴되면서 K+ 이온과 DNA, RNA와 같은 세포질 구성물을 방출하게 되어, 미생물을 불활성 시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세포막을 파괴시키는 방부제는 단지 미생물뿐만 아니라 인체 세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파라벤류는 피부에 침투하는 양이 적어 안전한 화학물질로 분류되 방부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알러지 반응 및 환경 호르몬으로서의 가능성, 내성균 유발의 문제점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파라벤이 피부를 통해서 혈액 속으로 흡수되고, 내장 기관과 지방, 근육에 축적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여러 종류의 방부제들에 대한 효능과 안전성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여 화장품에 안전한 방부제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일부 제품들에서 제품의 변질만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비자의 안전은 무시하고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방부제가 사용되고 있는 문제점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와 같이 기존 합성 방부제의 접촉성 피부염 가능성, 체내 축적으로 인한 내분비계 교란의 위험성 등이 연일 대중매체를 통해 보도되고 국, 내외의 웰빙 트렌드가 부각됨에 따라 화장품 업계에서는 화학적 방부제를 대체하기 위해 천연항균물질을 방부제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습니다.



3. 천연 방부제


그러나 많은 업체들이 천연방부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비싼 가격과 기술력의 미비 등으로 인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활성 물질들의 경우, 대부분 색취, 안정성 저하, 좁은 항균스펙트럼, 제형상의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나한백 추출물인 히노키티올(hinokitiol)과 목련 추출물인 마그놀롤(magnolol), 자몽추출물인 DF-100 등 극히 일부만이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4. 연구 개발 진행상황


당사에서는 제형에 문제를 주지 않고, 안전하고 안정한 천연 방부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미 다수의 관련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천연 물질로부터 추출한 2개 이상의 물질을 혼합하여 상승 효과적 방부 효과를 나타내는 복합 천연 방부제 개발
2. 당사 연구소에서 MIC test, Challenge test를 통해 최적의 농도에서의 항균 활성능 확인
3. 당사 연구소에서 독성 테스트 및 자극 테스트를 통하여 인체에 무해함을 확인
4. 원료 및 제형 안정성 테스트를 통한 안정성 확보
5. 특허 보유

쇼핑몰 바로가기